어도블록 > 어도블록 (주)토담산업

본문 바로가기

어도블록

어도블록 HOME


어도블록

  • 어도블록

본문

어도 블록(특허인증제품)

하천에 보나 댐과 같은 횡단 구조물을 설치하면, 은어, 연어, 뱀장어와 같이 바다와 하천을 회유하는 어종, 열목어,산천어와 같이 하천의 상하류로 이동하는 국지회유 어종 등 회유성 생물들의 이동을 제한하기 때문에, 하천의 생태계가 횡단 구조물 사이에서 단절되어 생태계가 파괴된다. 어도는 하천의 생물들의 이동을 방해하는 횡단 구조물이 있을 때, 생물들의 이동통로를 확보하여 하천 생태계의 보전과 경제성 어종은 물론 다양한 수서생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구조물이다.

어도의 필요성

어류와 참게 등 하천의 수서생물은 계절에 따라 산란, 서식지 이동, 먹이를 찾아서 하천을 거슬러 올라가거나 바다로 내려간다. 봄에는 산란과 성장을 위해 하천으로 올라가고 가을에는 아래로 내려와 겨울을 보낸다. 어도는 하천의 생태계의 건강성을 회복시켜 생물 다양성을 제고하고 수산자원량을 증가 시킴으로서 농산물과 수산물의 생산, 가공과 생태체험 관광 서비스를 결합한 농촌의 6차 산업화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어도가 필요한 보

설치작업한 어도

어도의 종류

  • 계단식

  • 아이스하버

  • 도벽식

  • 버티컬 슬롯형

  • 인공하도식

파시프렌 어도 블록의 종류

  • 계단식

  • 아이스하버식

파시프렌 어도 블록의 특징

역방향 흐름이 완화되고 유황이 고르다.
월류부에 설치된 돌기가 월류부에서 발생하는 역방향 흐름을 최소화하여 어도내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으며 유황이 고른 상태가 됨(기포는 어류의 이동을 방해함)

  • 파시프렌 어도 블록
    역방향 흐름을 최소화 하고 기포가 적게 발생함

  • 기타 어도 블록
    역방향 흐름이 나타나며 기포가 발생함

좋은 어도의 조건(어도의 설계지침 P.4, 농어촌진흥공사)

- 어도내에 진입한 모든 소상어가 신속하고, 쉽고, 안전하게 그 어도를 소상할 수 있어야 한다.
- 구조는 견고하고 관리가 용이해야 한다.
- 소상어가 어도의 입구 이외의 장소에 모여들지 않아야 한다.
- 어도의 입구에 모인 모든 소상어가 신속하게 어도에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
- 어도를 통과한 후에 소상어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하천을 소상할 수 있어야 한다.

어도의 형식별 장단점 비교표

18.jpg

어도 블록의 비교

1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