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어도 블록(특허인증제품)

어도의 필요성
어류와 참게 등 하천의 수서생물은 계절에 따라 산란, 서식지 이동, 먹이를 찾아서 하천을 거슬러 올라가거나 바다로 내려간다.
봄에는 산란과 성장을 위해 하천으로 올라가고 가을에는 아래로 내려와 겨울을 보낸다.
어도는 하천의 생태계의 건강성을 회복시켜 생물 다양성을 제고하고 수산자원량을 증가 시킴으로서 농산물과 수산물의 생산, 가공과 생태체험 관광 서비스를 결합한 농촌의 6차 산업화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어도가 필요한 보
설치작업한 어도
어도의 종류
계단식
아이스하버
도벽식
버티컬 슬롯형
인공하도식
파시프렌 어도 블록의 종류
계단식
아이스하버식
파시프렌 어도 블록의 특징
역방향 흐름이 완화되고 유황이 고르다.월류부에 설치된 돌기가 월류부에서 발생하는 역방향 흐름을 최소화하여 어도내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으며 유황이 고른 상태가 됨(기포는 어류의 이동을 방해함)
파시프렌 어도 블록
역방향 흐름을 최소화 하고 기포가 적게 발생함기타 어도 블록
역방향 흐름이 나타나며 기포가 발생함
좋은 어도의 조건(어도의 설계지침 P.4, 농어촌진흥공사)
- 어도내에 진입한 모든 소상어가 신속하고, 쉽고, 안전하게 그 어도를 소상할 수 있어야 한다.- 구조는 견고하고 관리가 용이해야 한다.
- 소상어가 어도의 입구 이외의 장소에 모여들지 않아야 한다.
- 어도의 입구에 모인 모든 소상어가 신속하게 어도에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
- 어도를 통과한 후에 소상어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하천을 소상할 수 있어야 한다.
어도의 형식별 장단점 비교표

어도 블록의 비교
